바이오프랜즈, 150억원 투입해 보은 DME 2공장 준공

CO₂포집해 메탄올로 전환, 국내 최대규모의 DME생산량 기대

양정아 기자 | 기사입력 2023/08/31 [18:02]

바이오프랜즈, 150억원 투입해 보은 DME 2공장 준공

CO₂포집해 메탄올로 전환, 국내 최대규모의 DME생산량 기대

양정아 기자 | 입력 : 2023/08/31 [18:02]

▲ ㈜바이오프랜즈 DME생산 제2공장 준공식 기념촬영 모습

 

바이오프랜즈는 31일 보은 DME 제2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준공식은 조원준 ㈜바이오프랜즈 대표, 김명규 충북도 경제부지사, 최재형 보은군수, 박덕흠 국회의원, 박경숙 충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장, 김상규 충북과학기술혁신원장, 나승식 한국자동차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보은 DME 제2공장은 1만 1000㎡의 부지에 약 150억원을 투자해 메탄올 저장탱크, DME반응플랜트, DME저장탱크 등의 설비들을 기반으로 DME 연간 1만톤 생산능력을 갖추었다.

 

바이오프랜즈는 그린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청정연료 DME(Di-Methyl Ether)와 수소를 생산해 판매하고 있으며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하고 화학적으로 변환해 CCU(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제품(메탄올, r-DME, 수소 등)으로 연계하는 사업을 비즈니스 모델로 사업을 영위해오고 있다.

 

청정연료 DME(CH3OCH3)는 탄소수가 가장 적은 에테르로 LP가스(프로판)와 물성이 비슷한 청정에너지이며, 현재 친환경 화합물로서 주로 냉매, 발포제, 스프레이 추진제 등 에어로졸에 활용되고 있으며 경유차 연료인 경유를 대체하고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친환경 연료이자 수소를 제조하는 신에너지 원료로 알려져 있다.

 

충북에서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다량 배출사업장인 시멘트공장이 밀집된 단양군의 성신양회 공장에 총 390억원의 국비, 지방비, 민간이 투자하는 ‘시멘트 산업 배출 CO2 활용 저탄소 연료화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며, ㈜바이오프랜즈가 그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앞으로 성신양회의 시멘트 제조공정의 킬른(Kiln)로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하여 메탄올로 전환하고, 이를 DME 제2공장으로 운송해 고부가가치 탄소중립 청정연료인 DME로 재탄생하게 된다.

 

이번 DME 제2공장 준공을 통해 국내 최대 규모(1만톤/년) DME 생산량이 기대되고 있으며, 향후 제2공장에서 생산하게 될 이메탄올(e-Methanol), 이디엠이(e-DME) 등의 이퓨얼(e-Fuel)은 에너지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명규 경제부지사는 “바이오프랜즈의 DME 생산 제2공장 준공은 기술개발에 대한 기업의 꾸준한 투자와 임원진 및 연구진의 노력, 그리고 행정의 지원이 더해져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지역의 모범이 되는 훌륭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지역의 탄소중립 선도 기업들이 세계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기술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yangja@okcb.net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